기독교강요 교리에 대하여 6/139 > 신학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학습자료실
신학과

기독교강요 교리에 대하여 6/139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6-12-28 21:17 조회538회 댓글0건

본문

것이다.

그런데 이와는 반대로 하나님을 모르면 모를수록 사람은 교만해진다. 교만한 자는 스스로 자신의 의와 지혜와 덕으로 완전히 만족하면서 마치 자신이 가장 훌륭한 존재라도 된 것처럼 스스로 가장 멋있게 생각하고(우쭐대며) 나아가 반신적(半神的 demigods)인 존재로 착각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인간의 교만은 하나님은 절대적으로 선하시며 존귀와 위엄이 한이 없으신 분이시라는 점을 우리 인간과 비교해 보기 전에는 결코 쉽사리 사라지지 않는다.

하나님 앞에서 서 있는 실존자로서, 한계 상황에 처한 존재임을 뼈저리게 자각할 때에만 미미하나마 자신의 무익함을 깨닫고 고개를 숙이게 되는 것이다. 이것이 또한 부패한 본성을 지닌 인간의 실상인 것이다.

그렇다면 하나님을 안다는 것은 무엇이며 그 목적은 어디에 있을까?

칼빈은 하나님을 안다는 것은 바로 종교 혹은 경건으로 이어지게 만든다는 것이라고 한다.

경건한 마음의 소지자는 하나님을 주()요 아버지로 인정하기 때문에, 모든 일에서 하나님의 권위에 복종하며, 그의 위엄을 경외하며, 그의 영광을 나타내기를 힘쓰며, 또한 그의 계명에 순종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하나님을 아는 자는 하나님의 뜻에 자신의 습관과 생각과 모습을 변화 시켜가게 되는 것이다.

하나님을 알면 알수록, 하나님을 향한 두려움과 함께 경외와 사랑이 넘쳐 하나님의 뜻을 거역하는 것을 죽는 것보다 싫어하게 된다.

그리고 진실로 하나님을 의뢰하고 경외하면서 자신을 하나님 앞에서의 예배자로서 변화(성화) 시켜가려는 자들로 만들게 되는데, 이것이 또한 하나님을 알아야 하는 목적이기도 한 것이다.

그런데 실상은 하나님을 바로 알아 그분 앞에서 경건자 내지는 예배자로 살아가고자 하는 자들이 그리 많지 않다는 것이다.

칼빈은 모든 사람이 하나님을 경배하되 뜻 없이 하고 있으며, 극소수의 사람들만이 그를 진심으로 경외하고 있다고 본다. 그래서 그는 의식이 허식으로 흐르는 곳마다 마음의 진실성을 찾아보기 매우 힘들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칼빈은 1장과 제 2장에서 기초적인 서론격으로 우리 자신을 아는 참된 지식이 하나님을 아는 지식과 엉켜 있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여기서 그는 우리가 하나님의 형상을 닮은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형상이 아닌 독립적인 실재로 우리를 생각하는 순간 우리는 우리의 정체성에 대해 허망한 환상을 갖게 되고 만다는 것이다.

우리가 땅을 넘어서 보지 못하고 우리 자신의 의와 지혜와 덕으로 만족하는 한 스스로를 가장 멋있게 생각하고 반신(半神)으로 여기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하나님의 거룩 성을 배경으로 해서 우리 자신을 보지 않는 한 우리 자신이 참으로 무엇이며 누구인가를 결코 알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음 3장 이하에서는 먼저 하나님을 아는 지식을 논하게 되는데, 이는 다음 강의로 미루겠다.

 

자연계시적 지식의 대하여 (2)

 

지난 특강은 칼빈의 생애와 그의 역작인기독교강요의 태동과정, 그리고 자연적 계시의 기초를 설명한 제 1장과 2장의 내용을 개관했다.

강의의 주된 내용은 우리 자신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하나님을 알지 않고는 사실상 불가능 내지는 부정확하다는 사실을 칼빈의 논거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특히 우리 인생은 너무나 무능하고 무기력하기 때문에 창조주 하나님 앞에서는 너무나 보잘 것 없는 존재라는 점, 그리고 이러한 인간 존재이기 때문에 하나님을 신뢰함은 물론 경외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죄 성을 인하여 하나님을 온전히 경외하지도 않으며 신뢰하지도 않는 마치 자신이반신적 존재인양 처신하는 어리석은 모습을 확인했으며, 이러한 어리석음은 하나님을 새겨 만든 형상과 벌레로 바꾸어 놓았던 것이다.

자연계시적 지식이라는 것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형성될 수 있는지? 그리고자연계시적 지식자연신학으로 변질되면서 생기는 문제점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확인함은 물론, 자연계시적 지식으로서는 결코 온전히 하나님을 알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하고자 한다.

그리고 우리가 하나님에 대한 지식을 바르게 갖기 위해서는 칼빈이 기술한 바와 같이 불완전한자연계시적 지식을 넘어 특별계시인성경을 통하여 확인코자 하는데, 이 부분은 다음 특강에서 검토하기로 하겠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학교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개혁신학교  |  대표자 : 남보석  |  TEL : 031-741-0175 / 070-8865-9888  |  FAX : 031-742-0175
주소 : 서울시 송파구 송이로 37가길 25로  |  사업자등록번호 : 107-89-80668
Copyright © 개혁신학교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