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의 문화와 고고학적 고찰 46/47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6-12-27 13:23 조회665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also Gaffin, "Introduction," p. xix: "... theology itself ought to be essentially exegetical" and Murray, "Systematic Theology," p. 17.
19. Murray, "Systematic Theology," p. 17.
20. Ibid., p. 17.
21. 여러 다른 저작 중에서 특히 다음을 보라. Cornelius Van Til, An Introduction to Systematic Theology, 이승구 옮김, 『개혁주의 신학 서론』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5).
22. Louis Berkhof, Systematic Theology (Grand Rapids: Eerdamans, 1949), p. 407.
23. Vos, Biblical Theology, pp. 5, 14, 17 = pp. 21, 31, 33.
24 Gaffin, "Introduction," p. xvi: "... revelation comes in a historically progressive fashion."
25. Murray, "Systematic Theology," pp. 15, 16.
26. 이런 점에 대한 기본적인 논의로 졸고, "존재론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의 관계," in 차영배 외, 『삼위일체론과 성령론』 (서울: 태학사, 1999), pp. 398-99를 보라.
27. Cornelius Van Til, Introduction to Systematic Theology, 졸역,『개혁주의 신학 서론』(서울: 기독교 문서선교회, 1995), p. 366.
28. 이에 대해서 주어진 다른 해석들로 다음 같은 것들을 언급할 수 있다. (1) 다신론의 반영이라고 보는 견해(Gunkel) (2) 장엄의 복수(the plural of majesty, the royal 'we')로 보는 견해(Keil, Dillmann, Driver, Vriesen) (3) 하나님께서 하늘 궁전에서 하시는 말씀이라고 보는 견해(Philo, Skinner, G. von Rad, Zimmerli, Kline, Mettinger, Gispen, Day, Donald E. Gowan, p. 27), (4) 하나님의 자기 의논의 복수(the plural of self-deliberation or the deliberative 'we')로 보는 견해(P. Jouon, Cassuto, Schmidt, C. Westermann, Steck, Gross, Dion). 이에 대한 논의로 한국성경신학회의 1차 논문발표회에서 발표된 졸고 "개혁주의 성경신학과 설교", in 『한국개혁신학』 4 (1998), pp. 362-70을 보라.
이 중에서
(1)은 전혀 있을 수 없는 것이고,
(2)에 대해서는 이렇게 이른 시기에는 장엄의 복수가 나타나지 않으며, 명사의 장엄의 복수는 있지만 동사나 대명사와 함께 나타나는 장엄의 복수가 없다는 히브리 문법학자들의 반대가 있으며,
(3)은 이 '우리'에 천사들이 포함되면 사람이 천사의 형상으로도 여겨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런 문제점을 피하면서
(2)와 (3)을 (4)와 함께 주장하고, 계시의 점진성에 비추어 본문 가운데서 언급된 '위격의 복수성'과도 연관시킬 수 있다면 그것이 최선의 견해가 될 것이다. 실질적으로 (2)와 '위격의 복수성'을 연결시키는 견해를 카일과 키드너가 제시한 바 있다. 또한 (4)와 '더 깊은 의미'(the sensus plenior)로서의 '위격의 복수성'을 연관시키는 논의를 Wenham이 제시한 바 있다(p. 28). 그리고 (2)와 '더 깊은 의미'(the sensus plenior)로서의 그리스도의 창조 관여를 연관시키는 논의를 김정우 교수가 제시하였다(김정우,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구약 성경의 증거," 차영배 외, 『삼위일체론과 성령론』 [서울: 태학사, 1999], p. 54).
29. 이런 무리함을 어느 정도 드러내는 이들을 예로 들자면 다음과 같다: Agustine, On the Trinity, 1. 7. 14, in A Select Library of Nicene and Post-Nicene Fathers (Grand Rapids: Eerdmans, 1956), 김종흡 역, 『삼위일체론』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3), p. 44; Civitas Dei, 16.6; Wayne Grudem, Systematic Theology (Grand Rapids: Zondervan, 1994), p. 227; Donald G. Bloesch, Essentials of Evangelical Theology, vol. 1 (New York: Harper and Row, 1978), p. 48, n. 20.
30. Herman Bavinck, The Doctrine of God, trans. William Hendricksen (Grand Rapids: Eerdmans, 1951; Grand Rapids: Baker, 1977), 졸역, 『개혁주의 신론』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88), p. 372.
31. Berkhof, p. 86.
32. Van Til, p. 367.
33. Anthony A. Hoekema, Created in God's Image (Grand Rapids: Eerdmans, 1986), p. 12.
34. Bill T. Arnold, Encountering the Book of Genesis (Grand Rapids: Baker, 1998), p. 28.
35. C. F. Keil and F. Delitzsch,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vol. 1, trans. James Martin (Grand Rapids: Eerdmans, 1976), p. 62; B. B. Warfield, "The Biblical Doctrine of the Trinity," in Biblical and Theological Studies (Philadelphia: The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 Co., 1968), pp. 30f.
36. D. J. A. Clines, "The Image of God in Man," Tyndale Bulletin 19 (1968): 53-103, esp. pp. 68-69; G. F. Hasel, "The Meaning of 'Let Us' in Gen 1:26," Andrews University Seminary Studies 13 (1975): 58-66, esp., pp. 65f., cited in Wenham, p. 28.
37. Clines, p. 68.
38. Derek Kidner, Genesis, Tyndale Old Testament Commentaries 1 (Leicester, England and Downers Grove, Ill.: IVP, 1967), p. 52: "... and this fullness, glimpsed in the Old Testament, was to be unfolded as trinity, in the further 'we' and 'our' of John 14:23 (with 14:17)."
39. Kidner, p. 34.
40.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17, NICOT (Grand Rapids: Eerdmans, 1990), p. 134.
41. Robert P. Lightner, The God of the Bible (Grand Rapids: Baker, 1978), p. 74.
42. Lightner, Evangelical Theology (Grand Rapids: Baker, 1986), p. 47.
43. Murray, "Systematic Theology," p. 19.
44 .Francis A Schaeffer, "Genesis in Space and Time," in A Christian View of the Bible as Truth (Westchester, Ill.: Crossway Books, 1982), 문석호 옮김, 『기독교 성경관』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4), p. 94.
45. Meredith G. Kline, "Genesis," in New Bible Commentary (Grand Rapids: Eerdmans, 1970), p. 85.
46. John Skinner, Genesis, The International Critical Commentary 1 (Second Edition, Edinburgh: T. & T. Clark, 1930), p. 8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