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의 문화와 고고학적 고찰 11/47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6-12-26 22:18 조회585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3.중세기 성서 해석의 특징
1) 가장 중요한 특징 있는 성서 해석 방법: 비유적 해석인데, 후기 교부시대와 중세에서 그 체계가 발전되었고, 모든 텍스트에서 네 가지 의미 – 문자, 비유, 도덕적 의미, 신비적 해석 - 를 찾아내었다.
2) 원래의 시작 시기: 어거스틴이나 존 카시안의 시대. 이 용법의 가장 좋은 예로는 갈라디아서 4장 22절 이하의 해석에서 볼 수 있다.
3) 성서의 다양 적 의미를 주장하는 까닭 두 가지: 첫째로 이전 까지 계시와 이성의 관계에 대한 적절한 이론이 아직 나오지 않았고, 둘째로 플라톤주의의 생명력은 희랍 교주만이 아니라 어거스틴을 통해서 기독교 세계관에 영향을 주었다.
4) 또 다른 해석자들: 이들은 상징을 읽음으로써 역사의 비밀을 꿰뚫어 보려 함. 그러나 1270년 이후 성서 해석이 교황의 명령으로 정죄되고, 새로운 성서 해석의 방법이 점차로 성숙됨.
4.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성서 해석
1) 아퀴나스 - 성서의 자의적 의미를 중시한 해석자. 성서에 담겨 있는 것은 우선 계시이므로 성서의 의미를 중요시함. 신학대전에서 전개.
2) 그는 자의적 의미가 다른 여러 가지 의미의 기초가 되며, 이 다른 여러 가지의 의미는 자의적인 의미 위에 적절하게 성립될 수 있다는 것이다.
3) 아퀴나스의 해석 방법에 대한 세 가지 반대 의견 -
첫째 : 가장 심각한 것으로 다의적 해석의 전제에서는 논증이 아니라 오류만이 남는다고 하는 것,
둘째 : 그 비유적 방법의 혼란과 체계의 결여를 지적,
세 번째 : 네 가지분류에 대한 불만으로서 예화적인 의미가 등한시 되어있다. 이에 대 해 아퀴나스는 자의적 해석에는 아무런 결함이 없다고 본다.
5. 성서의 자의적 해석으로 인한 중세 후기의 결과
그것은 히브리어의 연구와 구약성서의 자의적 내지 역사적인 주해서를 저작하도록 자극했고, 성서해석과 신학을 분리함으로 교부의 신학 방법을 부정하게 되었다.
역사적 연구와 동반해서 객관성의 주장이 나왔는데, 중세의 객관성의 주장에서 성서의 현대적 학문적 연구의 시초를 본다.
Ⅲ. 성서와 종교개혁
1. 서 언
종교개혁이 현대의 성서의 역사적 연구에 끼친 영향은 대단하며, 16세기에 일어난 인간정신의 거창한 운동은 하나가 아니라 둘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역사적 해석은 종교 개혁보다는 문예 부흥에서 탄생한 것이다.
2. 카톨릭과 개신교의 성서 해석
개신교적 성서 해석은 종교개혁 정신에서 그 생명을 얻었다. 카톨릭의 해석은 전적으로 교부들의 권위에 의존한다. 즉 교회의 전통에 의하여 성서를 해석한다.
프로테스탄트에 있어서 성서는 하나님께서 그것을 통하여 인간 영혼에게 직접 말씀하시는 책이다. 개혁 정신은 성서의 권위적 해석에 전적으로 반대하였다.
1) 종교 개혁자들의 성서 해석
~성서의 문자적인 해석과 문법적 해석을 강조하였다.
~성서는 신앙의 집을 이루는 유일한 기초이다.
~교회가 성서의 의미를 임의로 결정할 수 없는 데, 이는 하나님의 말씀인 성서가 교 회를 심판하는 자이기 때문이라고 본다.
~성서의 역사적, 자의적, 문법적 이해를 강조하였다.
~성서의 해석에 있어서 성서의 조명을 강조한다.
~비유적 해석이 교회의 권위를 논증하도록 허용하지 않았다.
2) 종교 개혁가들의 특징
~위클리프: 문자적, 문법적 해석 중시. 민중의 손에 성서를 쥐게 함.
~루터: 1517년 이후 그는 비유적 해석을 중지하고, 단순한
하나의, 하나의 해석을 주장했다. 그리고 여러 저자들이 의도한 그 의미의 위치에서 이해해야 함을 강조하기도 했다.
그러므로 성서해석자에게는 저자나 저자의 시대에 관한 역사적 이해불가피하다. 또한 그리스도 중심적인 해석을 하고, 객관적, 철학적 해석을 넘어서서 주관적 신앙의 영역으로 그의 해석을 이끌어 간다.
루터는 경험을 중요시 하지만 성령이 성서 해석자의 마음을 조명하신다고 본다.
~칼빈: 그는 객관적인 해석의 양식을 견지하였다. 성서 자체가 기독교신앙을 통제하는 권위라고 보고, 비유적 해석을 거절한다.
성서의 권위는 교회의 권위보다 우선적이다. 성서해석에 있어서 신앙의 우위성을 강조하지만, 또한 주관주의의 길을 열어 놓기도 했다. 그 후 그는 축자영감설과 성서의 절대 무오 설을 주장하게 되었다.
영국 교회도 종교개혁에서 성서의 우위성이라는 새 원리를 받아들였다. 그와 함께 전통에 호소하는 것을 버리지 않았다. '안수 식 서문'에 보면, 감독, 교직자, 집사의 삼중성직은 다만 성서만이 아니라 '고대의 저술가들' 즉 고대 교부들에 의하여 확인 되었다고 주장한다.
3. 로마 카톨릭의 성서해석
종교개혁의 성서 원리는 또한 로마 카톨릭에도 어떤 영향을 주었다. 특히 파스칼은 자신의 하나님을 성서에 계시된 하나님과 동일시하고, 성서를 마음으로 해석한다.
그는 아직도 교회의 권위에 미련을 버리지 못했지만, 성서의 권위적 해석에만 의존하는 데서 그리스도 중심적인 해석의 길을 열어 주었다.
이상과 같이 종교 개혁적 성서 해석은 마틴 루터에 의하여 표현된 고전 형이었다.
확실히 성서 해석은 주관적임과 동시에 객관적이다.
성서 해석의 주관적 요소를 주장하는 루터에게서, 우리는 인간 사고의 절대 객관적인 분석은 불가능하다고 강조하는 현재의 해석론과의 근사성이 있음을 본다.
7) Baker’s 신학사전 신성종 역 서울:엠마오, 1986.
이런 언약 신학에 대한 좋은 정리들로 John Murray, "Covenant Theology," in Collected Writings of John Murray, vol. 4, pp. 216-40; The Covenant of Grace (London: Tyndale House, 1954); Berkhof, Systematic Theology, pp. 293-301; 그리고 졸고, "언약과 성경신학"과 "언약에의 이해", in 『개혁신학에의 한 탐구』, pp. 157-66을 보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