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지기론 16/19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7-01-02 21:29 조회501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년을 경과하고 상당한 식견과 통솔의 능력이 있으며 디모데전서3:1-7에 해당하는 자이어야 한다.
① 선한 일을 사모하는 자(딤전3:1)
② 책망할 것이 없는 자(딤전3:2)
③ 절제를 잘하는 자(딤전3:2)
④ 아담한 자(말과 행동 그리고 용모도 아름다운
자)(딤전3:2,2:9)
⑤ 술을 들지 않는 자(맥주, 포도주 포함)
(딤전3:3, 딛1:7)
⑥ 근신할 줄 아는 자(딤전3:2)
⑦ 다투지 않는 자(딤전3:3,딛3:2)
⑧ 관용하는 자이다.(딤전3:3)
⑵ 가정적인 자격
① 한 아내의 남편으로 사랑하고 보호하고 같이 살아야 하며(딤전3:2)
② 자기 집을 잘 다스려야 하며(딤전3:4)
③ 자녀를 단정함으로 복종케 해야 한다.(딤전3:4)
⑶ 사회적 자격
① 나그네를 잘 대접해야 하며(교회 손님)(딤전3:2)
② 인에게 선한 증거를 얻어야 한다.(딤전3:7)
⑷ 경제적인 면의 자격
① 돈을 사랑치 않으며(딤전3:3- 탐심이나 인색치 않음)
②더러운 이익을 구하지 않아야 한다.(벧전5:2)
⑸ 신앙적인 면의 자격
① 자신의 치리 받을 일과 권징 받을 일을 하지 않
고
② 목회자와의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③ 범사에 본을 보여야 하며(벧전5:1-3)
④ 신령한 생활을 힘쓰고(말씀연구, 기도, 예배 출석, 성경공부, 봉사, 헌 금 등)
⑤ 주 앞에 부끄럼이 없게 하고
⑥ 항상 자신의 지도력을 개발해야 한다.
d. 장로의 선택과 임직
⑴ 목사가 자기 임의로 교인의 투표 없이 장로로 자백하여 장립할 수 없 으며
⑵ 반드시 공동의회에서 세례교인 3분의2의 투표로 선출하고
⑶ 선출 후6개월 이상 당회 아래서 소양 교육받고 노회 고시에 합격한 자로 지 교회에서 임직한다.
e. 장로의 직무
⑴ 교회의 신령적 관계를 총찰한다.
치리장로는 교인의 택함을 받고 교인의 대표로서 목사와 협동하여 행정과 권징을 관리하며 교회 혹은 전국 교회의 영적 관계를 총찰한다.
⑵ 도리오해(道理誤解)나 도덕부패를 방지한다.
주께 부탁 받은 양무리가 도리 오해나 도덕상 부패에 이르지 않기 위하여 당회로나 개인으로 선히 권면 하되 회개하지 아니하는 자가 있을 때에는 당회에 보고한다.
⑶ 교우를 심방하되 위로, 교훈, 간호한다. 교우를 심방하되 특별히 병자와 조 상자를 위로하며 무식한 자와 어린아이를 가르치며 간호할 것이니 평신도보다 장로는 신분상 의무와 직무상 책임이 더욱 중하다.
⑷ 교인의 신앙을 살피고 위하여 기도한다. 장로는 교인과 함께 기도하며, 위하여 기도하고 교인 중에 강도의 결과를 찾아본다.
⑸ 특별히 심방할 자를 목사에게 보고한다. 병 환자와 슬픔을 당한 자와 회개하는 자와 특별히 구조 받아야 할 자가 있을 때에는 목사에게 보고한다.
f. 원로 장로
동일한 교회에서 20년 이상 시무하던 장로가 연로하여 시무를 사임할 때 그 교회 가 그의 명예를 보존하기 위하여 공동의회의 결의로 원로 장로로 추대할 수 있다. 단 당회의 언권 회원이 된다.
g. 은퇴 장로 : 연로하여 퇴임한 장로이다.
h. 협동 장로 : 무임장로 중에서 당회 의결로 협동 장로로 선임하고 당 회의 언권 회원이 된다.
I. 목사와 장로의 구분
⑴ 자격이 다르다.
목사는 반드시 신학을 해야 하나 장로는 아니해도 된다.
⑵ 선택과 소속이 다르다.
장로는 목사가 안수하나 목사는 노회가 안수하며 장로는 당회 관할이고 목사는 노회 관할 안에 있고 장로는 목사 될 수 있어도 목사는 장로가 될 수 없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