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령론의 새로운 개혁주의적 고찰 5/34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6-12-27 13:31 조회365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령시대의 도태의 축으로 해석했다.
둘째로 오순절 사건은 구속사적인 사건이다. 세례요한이 예수님의 성역초기에 예수님은 성령과 불로 세례를 줄 분이라고 말한 다음 그는 "손에 키를 들고 자기의 타작마당을 정하게 하사 알곡은 모아 곳간에 들이고 쭉정이는 꺼지지 않는 불에 태우시리라"(눅 3:17)고 말함으로 성령과 불로 세례 주는 일이 어떤 일이 될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이는 예수님의 종말론적인 사역으로 그의 죽음과 부활과 직결되어 있다. 왜냐하면 예수님은 역사상에 구속성취를 이루시고 그 구속을 받아들이는 알곡은 곳간에 모으고, 그 구속을 배척하는 쭉정이는 꺼지지 않는 불에 던질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베드로는 요엘 2:28-32을 인용하여 오순절 사건을 설명하면서 요엘서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지 않고 자신이 처한 입장에 비추어 인용했다.
베드로는 요엘서의 '그 후에'를 '말세에'로 고쳤을 뿐만 아니라(행 2:17) "저희가 예언을 할것이요."(행 2:18)를 첨가하여 인용하였다.
그 이유는 오순절 사건이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의 사건과 아울러 말세의 사건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흥미 있는 사실은 예수님이 보혜사 성령의 오심과 자신의 죽음을 연계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요한복음 16:7-8의 말씀 가운데 나타난 예수님의 생각의 방향은 자신이 죽음과 부활, 승천을 거쳐 오순절 성령세례 사건에 있음을 본다. 예수님 자신이 죽으신 후 부활해야만 보혜사가 오실 것을 명백히 말한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오순절 사건은 구속적 드라마의 한 부분으로 성취된 사건이며 다른 구속 사건들과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다.
오순절 사건은 예수님의 성육신, 수난, 죽음, 부활, 승천과 함께 고려되어져야 한다.
스타트(Stott)와 개핀(Gattin)도 오순절의 성령강림의 의의를 구속사적인 면에서 이해하고 있다. 개핀은 오순절의 의의를 3가지 차원에서 조명하였는데, 기독론 적 차원, 교회론 적 차원, 그리고 경험적 차원이다.
기독론적 차원에서 볼 때 오순절에 성령을 보내시는 자는 바로 성자이시다.
오순절은 약속의 성령에 대한 예언이 성취된 날이며 이것은 하나님의 경륜적이며 기능적이며 종말론적인 섭리사건이다.
십자가로 절정을 이룬 성자의 사역의 절정이었다.
세째, 오순절 사건의 특징은 초자연적인 가시적 현상의 체험이다. 바람 같은 소리와 불의 혀같이 갈라지는 것과 방언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들은 먼저 상징적 의미로 설명되어져야 한다. 예언과 약속이 성취되었고 새로운 언약시대의 도래가 이루어 졌다는 확증이 필요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령의 역사가 있는 곳에 가시적 현상이 나타날 수는 있겠으나 모든 경우와 간구에 의해 이러한 동일 현상이 있어야 한다는 주장은 합당치 않다고 하겠다.
성령행전 이라고 일컬어질 정도로 성령의 끊임없는 역사가 상존했던 사도행전의 나머지 부분에 방언을 비롯한 가시적 현상이 교회선교사역에 반복되었다는 제시가 없다.
오순절 사건의 가시적 현상들은 주의 깊에 언급되고 적용되어야 한다.
네째, 성령의 충만을 모든 믿는 자들이 받았고 특별한 능력이 임했다. 그러나 성령으로 충만케 되고 능력의 은사가 임했다고 말할 수 없다.
그들은 부활의 예수님을 목격한 후 분명한 믿음과 확신을 가지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약속하신 성령님을 간절히 사모하게 되었음이 분명하다.
그들의 예수그리스도에 대한 믿음과 성령님에 대한 간절한 사모와 전혀 기도에 힘쓴(행 1:14)의지의 순종이 막 주도적 사역을 시작하시는 성령님을 그들 속에서 충만히 역사하시도록 했다는 점이다.
그들에게 역사했던 능력 또한 예수그리스도의 예정과 인정하심에 의한 것 이지만 성령의 충만함으로 은사와 능력이 나타났다고 봄이 더욱 보편적이며 일괄성이 있다고 하겠다.
복음서와 사도행전과 고린도서에 나타난 성령세례의 언어적 의미를 고찰 해보면 성령세례의 의미를 더욱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먼저 세례라는 말의 헬라어의 의미를 살펴보면 "상태 또는 이전의 환경이나 상태와의 관계를 바꾸기 위해서 사람이나 사물을 그 외에 어떤 것과 결합 시켜 놓거나 새로운 환경으로 이끌어 들이는 것."으로 정의되며 그 번역은 로 들여놓다. 또는 로 끌어들이다, 라고 K.S 위스트는 설명한다.
성령으로 세례를 베푼다, 의 31절에서 "성령으로"는 수단을 말하는 성령으로서의 세례, 또는 성령의 세례가 아니라 "성령의 영역에서의 세례를 뜻하며, 성령은 세례로 말미암아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라고 K. S 위스트는 말한다.
또한 믿는 자를 예수그리스도와의 생명적인 결합으로 이끄는 것이지 성령에 의한 세례가 능력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고 말했다.
결국 성령으로 세례를 받는다는 말의 헬라어 의미는 "죄인이 예수그리스도와 생명적인 결합으로 들어가는 것, 그리스도의 몸의 지체로 삼으신 것을 의미한다." 성령이 믿는 죄인을 주 예수께서 살아계신 머리가 되신 그 신비 체에 들여놓거나 이끌어 들이는 것을 뜻한다.
렌스키와 칼빈도 요1:33과 행 1:5을 주해하면서 세례라는 개념을 구속적인 의미로 해석했다. 이상근 박사 또한 성령의 세례는 위에서 오는 선물로 그리스도와 같이 죽고, 같이 살아 그의 몫이 되는 것이라 하여 성령세례가 그리스도와 한 몸을 이루는 연합으로 해석했다. 또한 그러므로 성령세례는 역사적이든 개인적이든 단회적 사건이다.
막 1:18, 마 3:11에서 "세례를 주실 것이리라"는 뜻이 단어 (배티세이)는 미래능동태 3인칭 단수 동사로서 한번 이루어질 것이 예언되었기에 성령 세례는 단회 적이라, 할 수 있다. 요 1:33의 "세례를 주는" 단어 (배티죤) 역시 현재 분사 능동태 주격 남성 단수 동사로서 반복되는 것이 아니라 단회적인 것이 분명하다.
그리고 고전 12:3절 마찬가지로 그 동사는 과거의 행동을 가리키는 과거 시제이며 단 한번 만의 행동을 가리키는 부정 과거이다.
이와 같이 성령세례에 관한 주석가들의 해석과 언어적인 의미를 고찰해 보았을 때 성령세례는 죄 씻음과 부활, 그리스도의 몸을 이루는 표식으로서의 역할과 생명이 임하는 단일성의 사건으로 이해된다.
이상의 고찰로 알 수 있는 사실은 성령세례는 어떤 능력이나 은사의 체험이 중심이 아닌 역사적 구속사적인 사건이요 예수그리스도의 몸과의 결합이 며 단회적 사건으로 성령 충만 과는 전혀 다른 별개의 사실임을 알 수 있다.
성도가 성령의 은사는 마땅히 사모해야 하겠지만 성령세례를 사모할 이유는 없는 것이다.
11. 영문으로 된 성령님의 관한 성구
HOLY SPIRIT
"So I say, live by the Spirit, and you will not gratify the desires
of the sinful nature. "
Galatians 5:16
The baptism of the Holy Ghost makes us witnesses to Jesus;
Not wonder workers. The witness is not to what Jesus does,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