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령론의 새로운 개혁주의적 고찰 33/34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6-12-28 15:59 조회424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1976), p. 31.
39) Kenneth B. Birch, "Spiritual Gifts---." pp. 1-3.
40) 여기서 분류하는 제3의 세력(the Third Force)이란 일반적으로 불리는 제 3의 물결(the Third Wave)과는 구별된다. 제3의 물결은 본질적으로 제3의 세력 안에 속한 것으로 오순절운동, 은사주의 운동에 이어서 나타난 독특한 은사운동의 하나로 최근에 기성교회에 가장 도전이 되는 제3의 세력의 한 분야이다. 성령의 제1물결이라 불리우는 오순절 운동의 특징은 두 번째 축복으로서의 성령세례를 받아야 구원을 받았다고 보며 그 증거로서 방언의 필수적인 동반을 교리화 하였다. 성령의 제2물결이라 불리우는 은사주의 운동은 오순절운동이 기성교회와 단절되어 독립된 교단을 형성한 것과는 구별되게 기성교회 안에서 은사운동을 계속 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적어도 표면적으로는 방언이 두 번째 축복의 표징으로 나타나는 증거라는 점을 선택적으로 인정하며 주류교단 속에 들어와서 성공회, 루터교, 감리교, 장로교, 심지어는 로마 카토릭안에서도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통계에 의하면, 카토릭 10억 교인중에 10%가 이와같은 성령쇄신 운동에 가입하고 있다고 한다. 빈야드운동에 동참하고 있는 조병철에 따르면, 은사운동에 가입한 개신교와 카토릭 교인의 숫자를 합하면 전 세계에 2억4천이 된다고 한다. 성령의 제3의물결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성령세례에 대한 오순절주의나 은사주의의 두 번째 축복이라는 입장과 달리 회심때에 받는 성령의 선물(The Gift of Holy Spirit)로서 꼭 방언을 주장하지 않을 뿐 아니라 성령의 은사(The Gifts of Holy Spirit)로서 교회를 유익하게 섬기도록 하는 기사와 이적(Signs and Wonders)을 주장한다. 이와같은 이들의 주장은 오순절주의나 은사주의의 극단적인 은사론에 대해 거리감을 두면서도 이들 가운데 나타나는 기사와 이적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많은 복음주의적 신학자나 목회자들을 저들의 운동에 포함한다.
41) Paul R. Orjala, Get Ready to Grow (Kansas City: Beacon Hill Press, 1978), p. 31.
42) D. M. 로이드 죤즈는 일반적으로 오순절주의자와 비 은사주의자들의 경계로 이해되는 성령세례의 의미를 성령의 인침(비 은사주의자들의 견해), 또는 성령의 충만(오순절주의자들의 견해)과 구별하여 독특하고 유별난 체험으로 이해한다. 〔D. M. 로이드 죤즈, 『성령론』, 홍정식 역편 (서울: 새순출판사, 1992), pp. 104-105.〕 R. A. 토레이는 성령세례가 성령의 거듭나게 하는 역사에 덧붙여 주시는 역사로 보았다. 그에 따르면, 구원받는것 만으로는 아직도 하나님을 섬기기에 적합하지 못하기 때문에 주님을 증거하는 일과 주의 사업에 봉사하는 일을 위해 성령세례를 통해 새로운 권능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그는 오순절주의자들의 주장과 같이 성령세례와 방언을 뗄 수 없는 상관관계로 이해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그는 성령세례를 성령의 은사들과 연결지어서 이해한다. 〔R. A. 토레이, 『성령론』, 편집부 역 (서울: 대한 기독교서회, 1989), pp. 115-129.〕 Richard Gaffin에 의하면, 개인 성도들에게 있어서의 성령의 세례는 회개때 발생하는 것으로 회개후 어떤 다른 시점에 발생하는 제 2의 축복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와의 구원적 관계에 들어오는 그 시점에서 발생한다고 한다. 신자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을 때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 부활에 함께 참여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오순절 은사인 성령세례에도 동참하는 것이다. 이런관점에서 Gaffin은 오순절 성령세례 사건을 "개인 성도의 성령체험의 표본"이 아닌 "예수 그리스도의 단번에 성취하신 사역의 대표"로 이해하였다. 즉 오순절 성령세레 사건은 개인 성도의 경험의 한 모델로서 주어진 구원의 서정(Ordo Salutis)으로서가 아니라 단회적 구속을 위한 역사적 사건(Eventum Historicum Salutis) 으로 주어진 것이라는 주장이다. 〔Richard Gaffin, "현대교회의 성령운동에 대한 평가," 『성경과 신학』, 한국 복음주의신학회 편 (서울; 도서출판 엠마오, 1986), pp. 235-239.〕
43) Merill F. Unger, The Baptism and Gifts of the Holy Spirit (Chicago: Moody Press, 1974), pp. 133-145.
44) Kenneth C. Kinghorn, Gifts of the Spirit, p. 21.
45) Thomas A. Smail, Reflected Glory: The Spirit in Christ and Christians (Grand Rapids: W.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76), p.44.
46) Kenneth B. Birch, "Spiritual Gifts---," pp. 33-35.
47) 이재범, "새물결의 파고 '빈야드운동', 어떤 것인가," (목회와신학, 1995, 6), p. 60.
48) 조대준, "빈야드운동---," pp. 383-384, 387.
49) J. I. Packer, 『성령을 아는 지식』, p. 110.
50) 상게서., p. 111.
51) 상게서., pp. 37-39.
52) 상게서., p. 26.
53) Chin Ae Kim, "A Plan for Developing the Ministry of Lay People through the Gifts of the Holy Spirit" (D.Min. dissertation, Fuller Theological Seminary, 1987), pp. 21-23.
54) J. Herbert Kane, The Christian World Mission Today and Tomorrow, (Grand Rapids: Baker, 1981), p. 21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