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강요의 교리 목차 3/5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6-12-28 17:17 조회766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이 약속은 하나님의 말씀에 있다. / 174
3. 믿음은 성령에 의하여 우리의 마음에 계신된다. / 176
4. 믿음에 대한 스콜라철학자의 항의를 논박함 / 179
5. 믿음과 소망 및 사랑과의 관계 / 180
Ⅴ. 교의학적 칼빈의 기독교 강요 / 183
1. 구원의 누림 : 믿음에 의한 우리의 중생과 회개 / 183
1) 회개는 믿음의 결과이다. 이 점에 관한 몇 가지 오류를 고찰함 / 183
2) 회개를 정의함 – 그 요소들인 육을 죽임과 영을 살림을 설명함 / 186
3) 신자들은 성화를 체험하지만 현세 생활에서는 죄 없는 안정성을 체험하 지 못한다. / 188
4) 회개의 열매 – 거룩한 생활, 죄의 고백과 용서, 평생 계속하는 회개
/ 193
5) 회개해도 소용없고 용서받을 수 없는 죄들 / 195
Ⅵ. 교의학적 칼빈의 기독교 강요 / 200
1. 윤리 : 칼빈에 따른 그리스도인의 생활 / 200
가. 그리스도인의 생활 : 첫째로 성경은 어떤 논거로 우리에게 이 생활을 역설 하는가? / 200
1) 이 논설의 골자 / 201
2) 그리스도인의 생활의 동기 / 201
3) 그리스도인의 생활은 하나님의 일을 하겠다는 가장 강력한 동기를 그리스도 자신과 그의 구속 행위에서 얻는다. / 202
4) 그리스도인의 생활은 혀의 문제가 아니고, 가장 깊은 마음의 문제 이다. / 202
5) 그리스도인의 생활의 불완전과 노력 / 203
나. 그리스도인의 생활의 핵심 : 자기부정 / 203
1) 탈속과 자기부정의 기독교철학 : 우리는 우리 자신의 것이 아니고 하나 님의 것이다. / 203
2) 우리와 이웃과의 관계에서 자기 부정의 원칙 / 206
3) 우리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의 자기 부정의 원칙 / 208
4) 자기 부정은 역경을 견디는 힘을 준다. / 210
다. 십자가를 지는 것 : 자기 부정의 일부 / 210
1) 우리는 그리스도의 제자로서 각각 십자가를 져야 한다. / 210
2) 이것은 우리에게 인내와 복종을 가르치기 위하여 필요하다. / 212
3) 박해와 기타 재난에서 십자가를 짐 / 215
4) 그리스도인은 고난을 당할 때에 그것을 하나님께서 보내신 것으로 생각 하나, 스토아적으로 무감각한 것은 아니다. / 216
라. 내세의 대한 명상 / 218
1) 하나님께서는 고난을 통해서 우리를 현세에 대한 과도한 애착에서 멀 어 지게 하신다. / 218
2) 무상하고 불완전한 현세 생활을 바르게 평가하면 내세를 명상하게 된 다. / 219
마. 현세 생활과 그 보조 수단들을 사용하는 법 / 221
1) 현세 생활에서 좋은 사물은 하나님의 선물로 생각하여 즐겨 사용하라
/ 221
2) 우리는 하늘로부터 받은 이런 각종 은혜를 무절제하게 사용하거나, 재리 를 탐할 것이 아니라, 우리의 소명을 따라 충실히 섬겨야 한다. / 223
Ⅶ. 교의학적 칼빈의 기독교 강요 / 229
1. 그리스도의 연합, 이중의 은혜 / 229
바. 믿음에 의한 칭의 : 그 명칭과 문제에 대한 정의 / 230
1) 칭의와 중생 : 용어를 정의함 / 230
2) 오시안더의 ‘본질적 의’ 라는 생각을 논박함 / 233
3) 선행이 의롭다함을 위하여 유효하다고 하는 스콜라 사상을 논박함 / 237
4) 다만 그리스도의 의에 의해서 죄가 용서된다. / 240
5) 하나님의 존엄성과 완정성에 비추어 칭의를 논함 / 242
6) 하나님 앞에서 양심적인 자기비판은 선행이 있노라는 생각을 일체 버리 게하며, 하나님의 자비를 받아들이게 만든다. / 244
사. 거저주시는 칭의에 관하여 유의할 두 가지 사항 / 247
1) 칭의는 하나님의 영광에 도움이 되고, 계시는 그의 공의에 도움이 된다. / 247
2) 자기의 의를 자랑하는 자는 하나님의 영광을 빼앗는다. / 248
3) 자기 의를 보아서는 양심에 평안을 얻지 못한다. / 248
4) 자기의 의에 유의하는 것도 약속을 무용하게 만든다. / 249
5) 하나님의 거저 주시는 은혜를 믿어야만 양심이 평안하며 기쁨이 있다.
/ 250
Ⅷ. 교의학적 칼빈의 기독교 강요 / 254
모든 경건한 자의 어머니인 진정한 교회 : 우리는 이 교회와 연합되어 있어야 한다.
1. 우리의 어머니인 거룩한 보편적 교회(1~4) / 254
2. 하나님을 대변하는 사역자들을 멸시하지 말라. / 256
3. 가견적 교회 : 그 회원과 표지 / 257
4. 이런 표지가 있는 교회는 아무리 결함이 있더라도 버려서는 안된 다. (분열의 죄) / 258
5. 교회가 완전히 거룩하지 못한 것은 분열의 정당한 이유가 되지 않 고 도리어 교회 내에서 죄의 용서를 실천할 기회를 준다. / 261
6. 신자의 공동체 내에서 죄를 용서한 실례들 / 264
Ⅸ. 교의학적 칼빈의 기독교 강요 / 26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