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령론의 새로운 개혁주의적 고찰 32/34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6-12-28 15:58 조회437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14) 여기에서 말하는 하나님의 우주적인 구원계획과 보편구원론은 구별된다.
15) Charles van Engen, God's Missionary People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91), pp. 102-103.
16) Karl Barth, "The Place of Theology," in Theological Foundations for Ministry (Grand Rapids: W. B. Eerdmans Publishing Co. 1979), p. 34.
17) Sung Tae Kim, "Shamanistic Influences---," p. 54.
18) Claus Westermann, Blessing---, p. 24.
19) 김의환, 『성경적 축복관』 (서울: 성광출판사, 1982), pp. 27-8.
20) Claus Westermann, Blessing---, p. 67.
21) Ibid, pp. 94-5.
22) Ibid, p. 22.
23) Herman Ridderbos, The Coming of the Kingdom, trans. H. de Jongste (Philadelphia: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lishing Co., 1962), p. 356.
24) John Wimber, "Spiritual Issues in Church Growth," (Unpublished Class Syllabus at Fuller Theological Seminary, 1992)
25) George E. Ladd, The Presence of the Future (Grand Rapids: W.B. Eerdmans, 1974), pp. 138-148.
26) John Wimber, "Spiritual Issues---."
27) 예수 그리스도께서 영원토록 동일하신 것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사역이 영원토록 동일해야 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이다.
28) Benjamin B. Warfield, Miracles: Yesterday and Today True or False (Grand Rapids: W. B. Eerdmans, 1953), p. 6.
29) 레이몬드, 『신 오순절 운동 비판』, 나용화 역 (서울: 개혁주의 신행협회, 1984), pp. 7-8.
30) 상게서., p. 45.
31) 상게서., p. 85.
32) Charles van Engen, "Theology of Church Growth."
33) John Wimber, "Spiritual Issues in Church Growth," (Unpublished Class syllabus , Fuller Theological Seminary, 1992)
34) 조대준, "빈야드운동 과연 성경적인가?," (월간목회, 1995, 11), p. 387. 빈야드운동은 전도하는데 있어서 기사와 이적이 필수적임을 주장하며, 전통적인 벤자민 워필드의 견해를 따라 기사와 이적이 사도시대 이후에 그쳤다는 견해를 반박해 현재도 모든 신약의 은사들이 나타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일부 보수신학자들이 사도시대 이후에는 기사와 이적이 전혀 없었다고 주장하는 것도 무리지만, 현대도 사도시대와 같은 기사와 이적이 일어나는 시대라고 보는 것도 무리이다. 조대준에 따르면, 워필드의 견해는 사도시대 이후에 이적이 전혀 일어날 수 없다는 것이 아니라 표적과 기사시대가 사도시대 후에 그쳤다는 것이다. 우리가 믿는 하나님은 이적을 행하시는 분이시다. 지금도 하나님은 이적을 행하실 수 있다. 워필드의 가르침은 신약성경에서 보여주는 사도시대에 교회를 세우기 위한 특별하고 많은 표적과 기사가 빈번히 행해지던 시대는 지났다는 뜻이라는 것이다.
35) David Watson, I Believe in Evangelism, (Grand Rapid: Eerdmans, 1977)
36) Peter Yuntaek Im, "Toward a Theological Synthesis of Missionary Discipleship: Foundations for a Korean Missiological Paradigm" (Ph.D. dissertation, Fuller Theological Seminary, 1992), p. 60.
37) Kenneth B. Birch, "Spiritual Gifts in Worship" (D.Min. dissertation, Fuller Theological Seminary, 1971), p. 3.
38) Kenneth C. Kinghorn, Gift of the Spirit (Nashville: Abingdon,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