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의 문화와 고고학적 고찰 45/47 > 신학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학습자료실
신학과

성경의 문화와 고고학적 고찰 45/47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6-12-27 13:23 조회632회 댓글0건

본문

. 참고 도서 -

 

* 도서류

 

기진오. 초대 교회사 Syllabus

 

박종칠. 구속사적 구약성경 해석서울:개혁주의 신행협회, 1988.

 

석원태. 설교학 원론서울:경향문화사, 1991.

 

역사를 보는 눈서울:경향문화사,

 

이석우. 기독교 역사관 역사의식서울:성광문화사, 1981.

 

D.베빙톤. 천진석,김진영 역. 역사관의 유형들서울:두란노서원, 1986.

 

* 사전류

 

동아 대 백과사전서울:동아출판사,

 

기독교 대 백과사전서울:기독교교문사, 1984.

 

개혁주의 신학해설사전김진수 편. 서울:생명의말씀사, 1984.

 

Baker's신학사전신성종역.서울:엠마오,1986.

 

 

 

 

 

 

 

 

 

 

 

2. 참고자료

 

1. 이에 대한 좋은 논의로 Loren T. Stuckenbruck, "Johann Phillip Gabler and the Delineation of Biblical Theology," Scottish Journal of Theology 52 (1999): 139-57 등을 보라.

 

2. J. P. Gabler, "Oratio de justo discrimine theologicae biblicae et dogmaticae regundisque recte utriusque finibus," in Kleinere theologische Schriften, ed. T. A. Gabler and J. G. Gabler (Ulm; Stettin, 1831), II, 183-84, cited in Gerhard F. Hasel, Old Testament Theology: Basic Issues in the Current Debate, Revised Edition (Grand Rapids: Eerdmans, 1991), 김정우 옮김, 구약신학: 현대 논쟁의 기본 이슈들(서울: 엠마오, 1993), p. 28.

 

3. 보스와 그를 따르는 이들이 하는 성경신학, 즉 개혁주의 성경신학과 그와는 다른 입장에서의 성경 신학에 대한 좋은 비교와 논의로 John Murray, "Systematic Theology," in Collected Writings of John Murray, 4: Studies in Theology (Edinburgj: The Banner of Truth Trust, 1982), pp. 11-15를 보라. 머레이는 이 논문에서 다음 네 가지 요점을 제시한다: (1) 성경 자체의 성경관을 버리고, 성경에 대한 문학적 역사적 비평적 전제를 가지고 하 는 신학적 작업은 성경 신학이기를 그치며(ceases to be biblical theology, p. 12),

 

(2) 계시의 통일성, 성경의 통일성을 버리고, 다양성을 너머 이질성을 말하는 신학은 성경 신학의 근본적 전제를 버린 것이고,

 

(3) 말씀 게시는 무시하고 행동으로서의 계시만을 말하는 신학은 성경에서 벗어난 것이며,

 

(4) 성경 역사, 특히 족장사의 중요한 부분들을 버려 버릴 수 있는 신학은 성경 신학이 아니다.

4 Richard B. Gaffin, Jr., "Introduction," to Vos' Redemptive History and Biblical Interpretation, ed. Richard B. Gaffin, Jr. (Phillipsburg, New Jersey: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 Co. 1980), p. xiv.

 

5 Geerhardus Vos, Biblical Theology (Grand Rapids: Eerdmans, 1948), pp. 11-14=이승구 옮김,성경신학(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85), pp. 28-30. 이하에서 이 책으로부터의 인용은 Vos, Biblical Theology, p. x = p. y의 형태로 하기로 한다.

6 Gaffin, "Introduction," p. xvii.

 

7 Gaffin, "Introduction," p. xviii. 이 점에 대한 또 하나의 좋은 강조로 Murray, "Systematic Theology," pp. 20f.를 보라.

 

8 Cf. Hasel, Old Testament Theology: Basic Issues In the Current Debate, pp. 169-202.

 

9 Gaffin, "Introduction," p. xix.

 

10 Gaffin, "Introduction," pp. xviii-xix. See also Murray, "Systematic Theology," p. 20.

 

11 Vos, Biblical Theology, p. 5=p. 21.

 

12 이런 점에 유의하며 지적하고 있는 글로 다음을 보라. 졸고, "개혁주의 성경신학과 설교", in 한국개혁신학4 (1998), 그리고 허주, "개혁주의 성경신학적 관점에서 바라 본 성령 이해와 그에 따른 신학적 함축들," 고려 신학2 (1999), pp. 508-17.

 

13. Vos, Biblical Theology, pp. 30f.

 

14. Vos, Biblical Theology, pp. 15f. = p. 32.

 

15. Murray, "Systematic Theology," p. 9.

 

16. Barton Payne, The Theology of the Older Testament (Grand Rapids, Michigan: Zondervan Pub. House, 1962), p. 22.

17. 물론 주해의 구체적인 과정에서 주해가 성경 신학, 즉 이 계시가 어느 시기에 주어진 계시인가를 생각하는 일에 도움을 얻을 수도 있다. 이런 점에서 때로는 성경신학이 주해에 대해 규정적인(regulative) 역할을 하기도 함을 잊어서는 안된다(cf. Murray, "Systematic Theology," p. 19; Vos, Biblical Theology, p. 15=p. 32). 그리고, 본 논문이 밝히고자 하는 것처럼, 이런 관계, 즉 상호 도움을 주며, 서로에게 규정적인 관계가 성경신학과 조직신학 사이에도 존재하는 것이다.

 

18. 이승구, 개혁신학에의 한 탐구(서울: 웨스트민스터출판부, 1995), p. 7. See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학교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개혁신학교  |  대표자 : 남보석  |  TEL : 031-741-0175 / 070-8865-9888  |  FAX : 031-742-0175
주소 : 서울시 송파구 송이로 37가길 25로  |  사업자등록번호 : 107-89-80668
Copyright © 개혁신학교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