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령론의 새로운 개혁주의적 고찰 23/34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6-12-27 14:41 조회437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나님의 말씀에 대해 올바로 반응할 때에 비로소 참된 축복 가운데 있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는데 Ray Anderson은 이와 같이 하나님을 향한 움직임을 가리켜 구속(Reconciliation)이라고 하였다. 구속에 의해 인간은 하나님의 말씀에 굳게 서게 되고 건강과 거룩을 소유한 자로 위촉된다.6)
B. 인류 타락 후 구속주로서 특별 은총의 축복
1. 일반 은총을 내포하는 특별은총
타락 후에 일반 은총은 인간으로 하여금 하나님과의 축복관계를 유지하기에 부족 되었다. 하나님께서 타락한 인류로 하여금 그들의 본래적인 축복의 위치를 회복하도록 특별한 계획을 준비하셨으니 이것이 특별은총이다. 이 특별은총 안에서 일반은총은 그 본유의 의미를 회복할 수 있다. Ray Anderson에 따르면 이와 같이 하나님을 떠나 스스로의 자율성을 추구하는 피조물을 버리시지 않고 찾으시는 하나님의 은혜는 하나님의 말씀에 대해 올바로 반응하기를 회피하고 또 다른 반응을 찾는 모든 시도들에 대한 하나님의 자비하심과 심판에 대한 증거라고 하였다.7) 특별은총은 궁극적으로 인간을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구원에 이르게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김성태는 주장하기를 구약시대의 축복에 대한 언약은 하나님의 백성으로 하여금 메시야로 오실 예수 그리스도를 기다리고 그의 오심을 준비하게 만들었고, 예수 그리스도를 고대함으로 말미암아 축복에 동참되도록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 올바로 지적하였다.8) Von Rad 역시 축복을 이런 구속적 관점에서 이해하였다. 그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구속하시는 행위와 축복하시는 행동들이 연결되어서 하나님의 구원자로서의 역사하심이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Von Rad는 구원의 개념을 사용할 때에 총체적인 개념으로써 하나님의 축복하심이 내포된 구속하시는 행동으로 사용한다.9) 성경은 인간의 타락 후에 하나님께서 사람을 만나실 때에 그의 구원하심과 더불어서 늘 축복을 말씀하신다. 구속주로서의 약속의 씨를 말씀하심으로 하나님은 사람에게 영적으로 뿐만 아니라 물질적으로도 계속해서 축복하신다.
2. 씨 의 약속으로서 축복
a) 당신의 백성을 찾으시는 하나님: 아담이 범죄하고 동산나무 사이에 숨어 있을 때 하나님께서 그를 찾으셨다. 교회성장학파에 의하면, 이와같이 하나님께서 당신의 백성을 찾으시는 행위가 교회성장의 기본이 되어진다. 왜냐하면 교회는 영원한 멸망의 저주로부터 구원된 하나님 백성의 성장하는 총회를 의미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Ray Anderson에 따르면, 하나님은 잃어버려진 자를 찾으시는 분이요 이와 같은 하나님의 세상을 구원하시는 선취적인 사역이 화해의 사역을 가능케 한다고 보았다.10) Charles van Engen은 하나님의 이와 같은 화해하시는 사역(The Ministry of God's Reconciliation= Missio Dei)11)이 교회성장의 기원이 된다고 하였다.
하나님께서는 잃어버려진 자를 찾고자 소원하신다. 찾아 모으려는 동기(Gathering Motif)는 모아진 자들 속에 내재하는 어떤 것 때문도, 또는 모든 자를 부르시는 것 때문도, 일꾼이 열심히 일한 때문도 아니다. 이런 것들도 사실일지는 모르나 최종적으로 Gathering Motif는 하나님 편에서 그의 잃어버린바 된 대상을 찾고자 하는 불타는 소원으로 부터인 것이다.12)
즉 하나님께서 그의 잃어버린바 된 사랑의 대상을 찾아 구원하시려 하는 간절한 열망이 바로 교회성장의 참된 동인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여인의 후손을 통한 구원을 약속하시고 아담대신 짐승을 희생시켜 그 가죽으로 옷을 만들어 입히심으로 당신의 사랑을 확증하셨다.
b) 당신의 백성에게 약속하시는 하나님: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축복은 아브라함을 향하신 하나님의 약속에서 구체화된다. 아브라함은 노년의 나이에 약속의 씨인 이삭을 얻게 되며 그 아들을 하나님께 번제로 바치라는 시험을 통하여 그 아들이 죽은자 가운데 다시 얻는 부활의 주님을 나타내는 참 씨의 모형임을 증거 하였다. 우리는 하나님의 이 약속 속에서 미래의 교회성장에 대한 청사진을 볼 수 있다. John Stott는 만일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의 씨로 복의 근원을 삼으시겠다고 약속하셨다면, 모든 기독교인들은 믿음 안에서 아브라함의 후사요 만일 기독교인들이 복음을 들고 모든 민족에게 나아간다면 그들도 복을 얻을 것이라고 강조함으로 교회성장의 뿌리가 하나님의 언약의 씨로 말미암은 것임을 바로 지적하였다.13)
c) 당신의 백성을 구속하시는 하나님: 애굽의 지배하에 있었던 이스라엘은 죄악의 굴레 하에 있는 사람을 보여주는 좋은 모형이다. 모든 애굽의 장자가 죽임을 당하던 밤에 어린양의 피를 인하여 이스라엘의 장자는 구원을 얻게 되어 지는데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을 애굽에서 불러서 당신의 언약백성으로 삼으신다. 하나님은 모든 민족의 하나님으로서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언약관계에는 이스라엘과 다른 나라와의 관계 속에서 종국에는 모든 민족을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놀라운 계획이 들어 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언약에 매인다는 것은 모든 민족을 구원하시고자 하시는 하나님의 우주적인 구원사역에의 참여를 의미한다.14) 이스라엘은 육체적으로 더 이상 영원한 하나님의 선민으로 예외적일 수 없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궁극적으로 모든 민족을 부르시고자 하시기 때문이다. 이것이 이스라엘을 하나님의 선민으로 부르신 하나님의 신비로우신 구원계획이시다.15)
여인의 씨로부터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신 씨 그리고 이스라엘에게 약속하신 메시야의 언약을 통해서 구속사의 흐름은 참되신 씨인 예수그리스도의 날을 향해 움직여졌고 예루살렘의 시므온이 예언한 것처럼 예수 그리스도는 모든 이방에 빛을 나타낸 자요 그의 백성 이스라엘을 영화롭게 하였다.
2장: 신약성경에서 약속된 축복의 실현으로 나타나신 성자 예수 님
A. 실현된 씨 로서의 예수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