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령론의 새로운 개혁주의적 고찰 31/34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6-12-28 15:57 조회404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교회의 본질이 하나님께서 세상의 구속주가 되도록 그 아들을 보내심에 놓여 있기 때문에, 교회는 그리스도에 의해 보내진 종으로서 온 세상에 하나님의 사랑의 복음을 전하고 하나님의 화해되어진 백성으로서 새로운 피조물의 잠정적인 모습이 되어 역사속에서 거룩하게 주어진 삶을 산다. 그러므로 교회가 우리 시대의 어두움과 위험가운데 있는 모든 민족과 부족에게 희망의 메세지를 말씀과 삶으로 증거하여 그들을 복음에 복종토록 부름으로, 성령에 의하여 그리스도안에 있는 하나님의 사랑이 그들에게 부어진바 되고, 모든 벽을 부수며, 모든 분열이 나음을 얻고 모든 이의 한 주요 구속주이신 위대한 목자가 재림하는 것을 맞이하기 위한 우주적인 한무리 양으로서 함께 모이게 하는 것이 교회의 사명이다.
--------------------------------------------------------------------------------
1) Ray Anderson, "A Theology for Ministry," in Theological Foundations for Ministry, Edited by Ray Anderson (Grand Rapids: W.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79), P. 11.
2) Johannes Pedersen, Israel: Its Life and Culture, Vol. 1-2 (London, 1926), PP. 162-212. Quoted in Claus Westermann, Blessing in the Bible and the Life of the Church, trans. by Keith Crim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78), p. 18.
3) 예수께서 부활하시고 승천하시기 전에 제자들에게 나타나셔서 "숨을 내쉬며 가라사대 성령을 받으라"(요 20: 21,22)고 명령하신 데에서 최초의 축복상태인 하나님과의 관계회복을 통한 총체적인 생육과 번성 그리고 다스림의 회복을 암시한다고 본다. James I. Packer는 이와같은 예수님의 행동을 "행동화된 예언"으로 이해하고 있다. 즉, 이제 곧 제자들이 성령의 새로운 사역을 체험하게 되며, 그들의 맡아야 할 엄청나고도 새로운 임무에 수반되는 모든 필요를 갖추게 될 것이라는 약속이다. James I. Packer, 『성령을 아는 지식』, 서문 강 역 (서울: 새순출판사, 1992), p. 115.
4) Claus Westermann, Blessing---, p. 19.
5) Cristopher Wright Mitchell, The Meaning of BRK "To Bless" in the Old Testament (Atlanta: Scholastic Press, 1983), p. 165.
6) Ray Anderson, "A Theology for Ministry," pp. 11-13.
7) Ibid., p. 14.
8) Sung Tae Kim, "Shamanistic Influences over the Theology of the Korean Church in Presbyterian Perspective" (Th.M. thesis, Fuller Theological Seminary, 1988), pp. 53-4.
9) Claus Westermann, Blessing---, p. 16.
10) Ray Anderson, "A Theology for Ministry," p. 4.
11) Missio Dei 개념은 1952년 독일의 Willingen에서 열렸던 International Missionary Council에서 처음 나타났다. 이 회의는 Mission을 정의하되 하나님 말씀에 대한 순종, 또는 회중에 대한 봉사 뿐 아니라 하나님의 점진적인 역사 속에서의 자기실현인 Missio Dei 에 참여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것이 하나님께서 세상을 구원하시기 위해 그의 아들을 보내셨다는 성경의 가르침에 대한 그들의 이해였다. 이 회의는 "우리가 행하는 모든 선교운동은 삼위일체이신 하나님 자신 속에 그 근원을 두고 있다"고 결론지었다. [Norman Goodall, Mission under the Cross (New York: The Friendship Press, 1953), p. 189.] 전호진은 전통적인 신학이 어거스틴의 세속역사와 거룩한 역사의 구별의 영향으로 역사에 대해 2분법적인 개념을 갖는 것에 대해 하나님의 선교 개념은 역사 속에서의 하나님의 사역에 주의를 기울임으로 이와 같은 2분법적인 개념을 극복하려 한다고 지적하였다. [전호진, "Missio Dei와 교회의 선교" 「성경과 신학」 Vol. 2, 한국복음주의신학회 편 (서울: 도서출판 엠마오, 1984), p. 234.] 전호진은 Missio Dei 신학이 하나님의 말씀보다도 역사의 내재성에 뿌리를 두고 있는 독일의 역사철학에 바탕을 두고 발전된 것임을 옳게 지적하였다. 물론 Missio Dei 신학이 하나님의 역사 속에서의 일하심에 주의를 기울이기는 하지만 이것의 관심은 "세속화"이고 궁극적인 목적은 하나님이 아니라 인간이다. 1968년 Upsala에서 열린 제 4차 WCC 에서는 선교의 목적을 인간화라고 정의하였으며, 이것이야말로 당시의 메시아적 목적이라고 믿었다. 따라서 그들은 사람들로 하여금 하나님께 돌아가도록 가르치는 전통적인 가르침은 구세대의 것으로 저들에게는 맞지 않고 현대의 관심은 참 인간이 되는 것이라는 것이다. 그들의 관심은 그리스도안에서 참 인간이 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가? 에 놓여 있다. [WCC, The Church for Others (Geneva: WCC, 1968), p. 78.] Harvie Conn 은 Missio Dei 개념이 국가와 교회의 구별을 없애고 구원사를 역사의 구원으로 바꾸어 버렸다고 올바로 지적하였다. 즉 그들의 목적은 오늘날 구원의 중심을 인간화가 가장 핵심 주제인 이 세상(this world)에 두는 것이다. [Harvie M. Conn, "Contextualization: Where Do We Begin?" in Evangelicals and Liberation, ed. Carl E. Armerding (New Jersey: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lishing Co., 1977), p. 93.]
12) Charles van Engen, "Theology of Church Growth," (Unpublished class syllabus at Fuller Theological Seminary, 1992).
13) John Stott, "The Living God is a Missionary God," in Perspectives on the World Christian Movement, ed. Winter and Hawthorne (Pasadena: WCL, 1981), p. 1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