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의 정통구원론 5/6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7-01-02 21:46 조회675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죄와 허물 으 로 죽은 영적 생명을 소생시키는 전인적이며 근본적인 변화이다.
(2) 병든 자가 회복하는 것과 같이 점진적인 것이 아니라 죽은 자가 살아나는 것과 같은 즉 각적 변화이다.
(3) 중생은 인간에게 바로 지각되는 것이라기보다는 뒤따르는 회개와 신앙의 결과로 알 수 있 는 잠재의식적 변화이다(요3:8)
(4) 중생은 인간의 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단독 사역으로 완성된다.
(요 1;13)
(5) 신적 선택에(시33:11;잠9:21;사46:10) 의하여 하나님이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중생은 인 간 이 반항하지 못하며 결코 실패하지 않는다(겔11:9;36:26;요6:45)
(6) 중생은 취소되지 않는다.
6. 회심(회개와 신앙)
중생에 뒤이어 일어나는 회심은 죄악을 향하여 살던 옛 생활에서부터 하나님 말씀을 따라 살려는 방향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1) 회심의 분류
회심은 죄로부터 돌아가서는 회개의 요소와 하나님께로 향한 신앙의 요소를 지닌다. 성경에 나타난 회심사건을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민적 회심(삼상7:6;느8:9;엡3:10).
(2) 일시적 회심(마13:20,21;딤전1:19,20;딤후2:17;4:10;히6:4-6).
(3) 진정한 회심(고후7:10;왕상5:15;눅19:8,9;행9:5).
(4) 반복적 회심(요13:10).
2) 회심의 특징
구원의 논리적 순서를 적용할 때 시간적으로는 어떤 단계가 반복되거나 겹치는 경우가 있으 며 다른 단계에 있는 개념과 유사한 측면을 지니기도 한다. 회심도 동일한 일면이 있다.
(1) 칭의가 신분의 변화를 가져오는 선언적 행위이나, 회심은 심령 내부를 변화시키는 재창조 의 역사이다.
(2) 중생이 하나님의 단독 사역으로 잠재의식에서 이루어지나 회심은 신인 협력으로 의식적 자각 속에서 이루어진다.
(3) 회심은 세상의 죄악을 떠나서 하나님의 뜻과 말씀을 지향하는 것으로 근본적인 생활 방향 의 전환을 일으킨다.
(4) 원칙적으로 불신앙에서 신앙으로 옮겨지는 회심은 일회적인 사건이나(단회적인 회심), 성 도들이 범죄 한 자리에서 회개하는 회심은 반복적으로 일어난다(반복적 회 심).
(5) 회심 가운데 회개는 율법을 통하여 이루어지고(율법적 회심), 신앙은 복음을 통하여 이루 어진다(복음적 회심).
3) 회개
단순히 죄를 깨닫고 슬퍼하는 것이 아니라 죄에서 완전히 떠나는 것이다. 여기서는 죄의 깨달음 즉 지성적 요소와(롬3:20), 죄로 인한 근심 즉 감정적 요소(고후7:10), 그리고 죄를 버리겠다는 결심 즉 의지적 요소(시51:5,7)가 있다.
4) 신앙
회개는 죄에서 떠나려는 회심의 소극적 요소이나 신앙은 하나님만이 바라는 회심의 적극적 요소이다. 즉 신앙은 하나님이라는 대상을 인식하고(지성적 요소) 그를 바라며(의지적 요소) 만족하는(감정적 요소) 것이며, 신령한 은혜에 대한 간절한 사모이며(마5:6;요6:50-58), 그리스도를 적극적으로 영접하는 것이다(요1:12;5:40;7:37;6:44,65). 그러나 구원의 서정을 이루는 참신앙 외에도 인간의 눈으로 보기에는 신앙 같으나 구원의 열매를 맺지 못하게 하는 무효적 신앙도 있다. 신앙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1) 역사적 신앙
성경을 자기와 직접 관련이 없는 과거의 사실로 받아들이는 신앙으로 구원에는 이르지 못한다(마7:26;약2:19).
(2) 이적적 신앙
이적의 가능성을 믿는 신앙으로 구원적 신앙으로 승화될 수 있으나(마8:5-13;요11:22) 그렇지 못할 수도 있다.(마7:22,23)
(3) 일시적 신앙
기쁨으로 받으나 감정에 근거를 두었으므로 참된 신앙으로 성장하지 못한다.(마13:20- 22; 딤전1:19;딤후4:10;히6:4-6).
(4) 구원적 신앙
성령의 중생시키는 역사도 말씀을 통하여 영적 진리를 깨닫고 주님을 향한 회개와 구원에 대한 감사를 가지며 주님의 뜻에 따라 살려는 다짐을 가지는(갈2:20;골3:9,10) 것으로서 이것만이 구원의 서정에 일관 된 참 신앙이다.
5) 회개와 신앙과의 관계
회심은 죄에서 떠나는 측면에서 보면 회개의 요소를 가진 것이고, 하나님을 향하는 측면에 보면 신앙의 요소를 가진 것이다. 회개가 과거 생활과 관계된 것이라면, 신앙은 앞으로의 생활과 관련된 것이다. 이러한 회심의 두 측면에 각각 포함된 세 요소의 상호관계는 다음과 같다.
구분: 회 개 - 신 앙
지(知) 자신이 타락한 존재임을 안다.(시51:34;겔36:31) -회 개
하나님이 죄인을 위해 구원을 준비 하셨음을 안다. (시9:10;빌3:8) -신 앙
정(情) 죄에 대하여 슬퍼하는 마음을 가진다.(시51:17;고후7:10) -회 개
하나님의 사랑에 대해 감사 하는 마음을 가진다.(요4:12;살후2:13) -신 앙
의(義) 죄에서 돌이킨다. (행26:18;고후7:11) -회 개
그리스도에게로 나아간다. (행16:31;26:18) - 신 앙
자연인은 누구나 죄인이므로 (욥9:2;전7:20;롬3:10) 하나님 앞에 의롭다 인정받아 영생에 들어갈 수 없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의 의를 기초로 하여 죄인에 대한 율법에 모든 요구가 만족되었다고 선언하신 택한 자들은 하나님과 직접 교제할 수 있으며 죄의 공포에서 벗어나서 하나님의 축복에 참여할 수 있다.
7. 칭 의
1) 칭의의 성질
죄의 두 가지 결과인 죄책과 오염 가운데 그리스도의 의를 기초로 하여 죄책(형벌)으로부터 벗어나 의롭다 선언함을 받은 성도의 칭의에는 아래와 같은 성질이 있다.
(1) 칭의는 인간의 공로에 의한 것이 아니라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의 결과이다.(롬 3:20-24; 갈2:16;빌3:9)
(2) 중생은 죽은 심령에서 소생되는 상태의 변화 한다면 칭의는 죄인에서 의인으로 변화 되는 법적 지위의 갱신이다.
(3) 칭의는 실질적으로 죄를 짓고 있으나 의인으로 간주한다는 하나님의 선언적인 행위이다.
(4) 하나님은 칭의의 근거로서 그리스도를 대속물로 설정하시고 그의 의를 성도에게 전가 시 키셨다. (롬5:18,19).
(5) 칭의는 성령으로 거듭나서 그리스도를 영접할 때 즉각적으로 완성된다.
(6) 성도를 성화시키는 분은 성령이나, 의롭다고 선언하시는 분은 성부 하나님이시다.
2) 칭의의 요소
의로운 심판장이신 하나님의 재판석 앞에서 이루어지는 칭의와(롬3:20;갈3:11) 인간의 마음에 느껴지는 칭의는 두 요소를 갖는다.
(1) 소극적 요소 그리스도로부터 전가된 의로서 인간의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죄를 용서 받는다. (시103: 12;사44:22;롬5:21;8:1,32-34;히10:14)
(2) 적극적 요소 칭의로 인하여 하나님은 성도를 자녀로 삼으시며(요1:12;롬8:15,16;갈 4:5,6), 영생하는 특권을 주신다. (벧전1:4)
8. 양 자
칭의의 적극적 요소로 하나님과의 자녀 됨을 다루기도 하나 양자됨의 권세가 크기 때문에 다른 항목 설정하는 것도 뜻 깊은 일이다(요1:12). 성도는 중생으로 실질적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으나, 칭의에 의한 법적 자격으로 하나님의 양자가 된다.
1) 양자의 개념
타락이후 인간은 마귀의 자식이었으나(마3:7;요8:44;엡2:3) 칭의를 거쳐 의로우신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법적 지위를 얻고 과거의 죄에 대한 공포에서 해방되며(눅15:24) 또한 현재 성령의 내주를 체험하며(롬8:16,17) 신랑 되신 그리스도와 끊임없이 교통하고(요15:5) 미래에는 그리스도와 마찬가지로 부활하며(롬6:5) 성부, 성자와 영원히 함께 살며(요14:1-3) 또한 하나님의 보좌 앞에서 영원히 그를 섬길 것이다. (계7:14-17)
2) 하나님을 아버지로 부르는 경우
양자의 영을 받은 자는 하나님 가운데 성부를 아버지로 부른다(롬8:15). 그러나 성경에는 이와 별개로 하나님을 아버지로 부른 경우가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