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의 정체를 밝힌다. 17/20 > 평신도학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학습자료실
평신도학과

사단의 정체를 밝힌다. 17/20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7-01-02 16:08 조회594회 댓글0건

본문

.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들

 

디아볼로스(Aristoph. 이래)는 디아발로(diaballow), ,

의를 가지고 고소하다, 비난하다)에서 유래했으며,

a) 형용사로는 '비방적인, 중상적인'을 의미하며,

b) 명사로는 '중상자, 비방자, 마귀'를 의미한다.

 

1. 70인 역본의 용법이다.

 

디아볼로스는 70인 역본에서 22회 나오며, 주로 히브리어 사탄(적대자, 대항자, 사탄, 대상21:1 1:6, 7, 9, 12; 2:1-7 109:6 3:1-3), 차르(적대자, , 원수, 7:4), 초레르(대적, 8:1)의 역어로 사용되었다.

사탄, 디아볼로스는 근본적으로 원수이지만(참조: 삼상29:4 71:13) 정확하게는 고소당한 자의 오른 편에 서는(109:6) 법적인 고소자이다(3:1).

그리고 욥기에서 사탄, 디아볼로스는 하늘에 있는 존재로서 의인을 하나님 앞에 고소한다.

 

2. 신약성경의 용법이다.

 

디아볼로스는 신약성경에서 37회 나오며, 다음과 같이 사용되었다.

a) 25:41에서는 마귀의 사자들이 언급되어 있다.

이와 유사하게 예수님의 시험에 관한 기사(4:1-11; 4:1-13)에서 마귀는, 쿰란 문서에서와 같이, 스스로 세상의 주라고 사칭한다. 이렇게 그 직함을 사칭함으로써 마귀는 예수님으로 하여금 그가 갈 길을 가지 못하게 유혹하였던 것이다.

마귀는 적절하게도 "이 세상의 지배자"(아르콘 투 코스무 투투)라고 불리 운다(참조: 12:31, 14:30 16:11). 구속 받지 못한 사람들은 마귀에게 속해 있다(8:44). 그들의 일은 마귀(디아볼로스)의 일이다: "죄를 짓는 자는 마귀에게 속하나니 마귀는 처음부터 범죄 함이니라 하나님의 아들이 나타나신 것은 마귀의 일을 멸하려 하심이니라"(요일3:8). 디아볼로스는 살인자요(8:44), 거짓말쟁이며(요일3:8), 인간에게 여러 가지 악을 행한다. 유다는 디아볼로스가 되어 예수님을 배반하여 팔았다(6:70 13:2).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디아볼로스가 질병의 배후에 있을 수도 있다(10:38 참조: 13:16 고후12:7). 디아볼로스는 이교 신앙과 마술의 배후에 있다(13:11).

그의 궁극적인 무기는 사망이다(2:14).

씨 뿌리는 비유에서 마귀는 사람들이 믿고 구원을 얻지 못하도록 사람의 마음에서 구원의 말씀을 가로채가는 자로 묘사되고 있다(13:19에서는 호 포네로스악한 자, 4:15에서는 호 사타나스사탄으로, 그리고 눅8:12에서는 호 디아볼로스 마귀” devil 로 각각 나온다).

그러나 하나님의 구원의 말씀을 방해하고자 하는 자는 누구든지 디아볼로스로 불리 울 수 있다는 원리는 개인에게 적용되었을 뿐 아니라 교회에게도 적용되었다.

12:7-12은 이 사탄이 떨어지는 것과 예수님 자신의 출현을 결부시키고 있다.

12:9에서 디아볼로스와 사타나스는 똑같은 무게와 중요성을 가진 단어로 나란히 사용되고 있는 한편, 8절에서 이것은 드라콘() 또는 옵히스(), 그리고 10절에서는 카테고르(참소하는 자)로 묘사되고 있다. 마귀는 그의 때가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을 알고 성나고 포악해져서 하나님의 백성을 못살게 군다(12:12 12:16 이하). 마지막 마귀와 그 모든 사자들을 위하여 예비 된 것은 영원한 불이다(25:41).

 

b) 4:27에서 계속 분을 품고 있는 자는 마귀의 시험을 당할 수 있다.

 

"마귀로 틈을 타지 못하게 하라".

시험에 빠지지 않도록 도와주는 것은 하나님의 전신갑주로 무장하는 것(6:11 6:16), 하나님께로 결연히 돌아서는 것(4:7), 그리고 깨어 있는 정신으로 방심하지 않고 경계하는 믿음, 이것이 전부이다. 오직 이것만이 비록 마귀가 초조해지고 신변에 위험을 느끼어 울부짖는 사자처럼 이러 저리 다닐찌라도(벧전5:8) 그의 힘을 잃게 하는 유일한 방법이다.

하지만 마귀가 멸망할 수밖에 없는 궁극적 원인은 "어린 양의 피", 즉 예수님께서 십자가상의 죽음을 통하여 이룩하신 승리이다(참조: 12:11).

 

c) 딤전3:11과 딤후3:3에서 그 의미는 '비방자’calumniator

이다.

딤전3:6-7에서도 '비방자'라는 의미가 가능하긴 하지만, 이 구절에서 관사가 사용되었으며 단수로 나온다는 사실로 말미암아 역시 '마귀'를 암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7-01-02 16:29:54 선교학과에서 이동 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학교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개혁신학교  |  대표자 : 남보석  |  TEL : 031-741-0175 / 070-8865-9888  |  FAX : 031-742-0175
주소 : 서울시 송파구 송이로 37가길 25로  |  사업자등록번호 : 107-89-80668
Copyright © 개혁신학교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