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강요의 교리 목차 2/5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6-12-28 17:16 조회673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2. 차이점이 없는 구별의 대하여 / 64
3. 형상 예배는 하나님의 이름을 더럽히는 행위라는 것을 명심. / 65
제 13장 성경은 창조 이래로 하나님은 한 본질이시며 이 본질 안에 삼위가 존재 한다는 것을 가르친다. / 66
1. 정통교부들이 삼위일체 교리를 사용한 술어 / 66
제14장은 삼위일체 하나님에 관하여 논의하고 있는데, 삼위일체 신학에 있어 칼빈의 공헌은 지대하다고 평가된다. / 71
제 15장 성경은 창조 이래로 하나님은 한 본질이시며 이 본질 안에 삼위가 존재 한다는 것을 가르친다. / 73
1. 성자의 영원한 신격의 대하여 / 73
2. 성령의 영원한 신격의 대하여 / 77
3. 삼위의 구별과 일체성의 대하여 / 79
4. 반 삼위일체 이단에 대한 논박의 관하여 / 82
제 16장 우주와 만물 창조에 있어서까지 성경은 참 하나님과 거짓 신들을 명백한 특징들을 가지고 구별한다. / 92
1. 세계와 인간의 창조의 관하여 / 92
2. 천사의 관하여 / 93
제 17장 하나님께서는 창조 세계를 권능으로 양육하시고 유지하시며 섭리로써 그 모든 부분을 다스리신다. / 97
1. 하나님의 특별한 섭리는 철학자들의 견해와 상반된다. / 97
2. 성경이 입증하는 특별섭리에 대한 교리의 관하여 / 99
3. 운명, 우연, 우발성의 관하여 / 100
제 18장 섭리교리에 대한 올바른 적용은 우리에게 큰 유익을 준다. / 103
1. 과거와 미래에 관계된 하나님의 섭리에 대한 설명의 대하여 / 103
2. 하나님의 섭리의 방편에 대한 명상 : 섭리를 인자할 때 오는 축복 / 105
3. 반대자들에 대한 답변의 관하여 / 108
제 19장 하나님께서는 불경건한 자의 일을 사용하시며 저들의 마음을 굴복시켜 자신의 심판을 수행하심으로써 모든 더러움에서 순결을 유지하신다. / 110
1. 섭리는 단순한 ‘허용’ 이 아니다. / 110
2. 하나님은 인간 안에서 어떻게 일을 추진하시는가? / 111
3. 하나님의 의지는 단일하다. / 112
4. 하나님께서 자신의 목적을 위하여 불경자의 행위를 사용하실 때에도 하나님 은 비난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 113
5. 칼빈의 선택과 예정과 섭리 / 116
제 20장 영원한 선택 : 하나님께서는 이 선택의 의해 어떤 사람은 구원에, 또 어 떤 사람은 멸망에 처하도록 예정하셨다. / 118
1. 예정의 교리는 중요하므로 무례한 논의나 침묵은 불가능하다. / 118
2. 이스라엘 백성과 각 개인에 관련해서 예정을 정의하며 설명함 / 119
제 21장 성경의 증거에 의한 이 교리의 확인 / 122
1. 선택은 공로에 대한 예지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적인 목적에 서 온다. / 122
2. 선택과 유기의 이 근거에 반대하는 사람들에게 대답함 / 124
제 22장 이 교리를 겨냥한 거짓되고 부당한 비난들에 대한 반박. / 127
1. 유기는 선택에 동반되며, 하나님의 뜻으로 하시는 일이다. / 127
2. 하나님의 공의는 우리의 힐문을 받지 않는다. / 128
3. 아담의 타락과 버림받은 자들의 유기는 하나님이 허락하셨을 뿐 아니라 결 정하신 일이다. 그러나 이를 공의로 하셨다. / 129
4. 예정을 선포하는 것을 유해하지 않고 도리어 유익하다. / 131
제 23장 선택은 하나님의 소명으로 확인되나 악인은 예정된 공정한 멸망을 자초 한다. / 134
1. 선택된 자들은 효과적으로 부르심을 받아 그리스도와 교제에 가입된다. / 134
2. 그리스도의 보호 하에서 선택된 자들의 견인은 확실하다 : 반대론자들이 인용하는 성경 구절들을 해석함. / 136
3. 하나님께서 버림받은 자들에 대한 하나님의 공정한 처리 / 138
Ⅲ. 교의학적 칼빈의 기독교강요 / 144
1. 구원의 누림 : 믿음의 근거와 정의 / 145
제 1장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 가? / 145
1) 그리스도에 대한 말씀이 성령의 신비한 역사에 의해 우리에게 유익을 준다. / 145
2) 그리스도께서 어떻게 또 무슨 이유로 성령을 받으셨는가? 146
3) 성경에 나타난 성령님의 칭호 / 147
4) 믿음은 성령의 역사이다. / 149
5) 믿음 : 그 정의와 속성에 대한 설명 / 150
6) 신앙은 지식을 내포한다. 스콜라의 맹신이라는 사고는 참된 교리를 흐리 게 한다. / 151
7) 말씀에 대한 믿음의 관계 : 믿음의 요약된 정의 / 154
8) ‘믿음’ 이라는 말에 대한 여러 가지 용납할 수 없는 정의들 / 156
9) 제 7절에 있는 믿음의 정의에 내포된 것을 자세히 검토함 : 지식의 요소 / 160
Ⅳ. 교의학적 칼빈의 기독교 강요 / 164
제 2장 믿음의 의한 우리의 중생 : 회개의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 165
1. 믿음의 확실성과 두려움의 관하여 / 165
2. 믿음의 기초는 그리스도 안에 있는 은혜를 값없이 주신다는 약속인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